(주)남해의봄날에서 새가족을 찾습니다!
2012년 7월 첫 책을 낸 이후 지난해 창립 10년을 맞아 주식회사로 전환한 남해의봄날은 느린 걸음으로 80여 권의 책을 출간하고, 아름다운 예술의 도시 통영의 문화예술을 알리는 책문화공간 봄날의책방을 함께 운영하며 로컬의 가치있는 콘텐츠들을 다양한 미디어로 소통해 왔습니다.
남해의봄날은 <나는 작은 회사에 다닌다>로 제53회 한국출판문화상 편집상을 수상하고 로컬 출판사들과 함께 기획한 <어딘가에는 @있다!> 시리즈로 두번째 한국출판문화상 편집상을 수상했습니다. 전국에 작은 책방 붐을 일으킨 <작은 책방, 우리 책 쫌 팝니다!>에 이어 베스트셀러 <동전 하나로도 행복했던 구멍가게의 날들>, <마녀체력> 등 인문, 에세이, 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도서를 출간하였고, 봄날의책방으로 2019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며 새로운 지역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모집 분야]
1] 북숍 매니저_ 책문화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과 상품 기획+북숍 운영 담당. 책과 책방에 애정을 갖고 새로운 것을 기획하고 소통하는 데 관심있는 분. (관련 경력 2년 이상 우대)
2] 북 스토리텔러_ 로컬 문화에 애정을 갖고 에세이, 예술 또는 어린이와 그림책 분야에서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다양한 미디어 마케팅에 도전하고 싶은 분. (기획과 편집 또는 마케팅 관련 경력자 우대)
[제출 서류]
지원분야 명기하고, 본인의 일과 삶 이야기를 자유롭게 담은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각 1통
[서류 마감]
bomnal@namhaebomnal.com으로 11/23(목) 마감.
[채용 과정]
서류 전형 후 통과된 분에 한해 1차 화상 면접을 실시하고, 2차 면접은 통영에서 진행. 최종 합격자는 3개월 수습 과정 이후 정규직 근무. (경남, 전남 등 남해안 소도시를 비롯 지역에서 나고 자란 분들 우대합니다.)
[근무 조건]
정규직으로 4대보험 제공, 주 5일 근무. 매년 겨울에 2주 이상 전사 휴가와 다양한 지역의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국내외 워크숍 참가. 업무 능력 향상 위한 자기계발비와 퇴직연금 제공 등.
도시의 복잡함을 뒤로 하고 남해 바닷가에서 일하면서 살아가고 싶은 분들의 많은 지원과 관심 바랍니다.
전시소개
통영이 낳은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이 독일 유학시절 그의 아내에게 쓴 편지가 책 <여보, 나의 마누라, 나의 애인> 으로 출간되었습니다. 봄날의책방에서는 윤이상의 생전 모습과 그의 친필 편지를 사진으로 전시하고 있습니다. 가족들과 함께 있는 모습, 음악가로서 고민하는 모습 등 윤이상의 다양한 모습을 보는 재미가 있는 전시에서는 특별히 제작한 윤이상 '자장노래' 오르골을 판매중입니다. 더불어 책을 구매하시는 분들께는 폐반되었던 CD를 한정 수량 제작한 자비네마이어 CD를 드립니다.
작가소개
윤이상
1917년 산청에서 태어나 통영에서 자랐다. 1955년 작곡가로는 최초로 서울시문화상을 수상, 이듬해 마흔의 나이에 프랑스 파리로 유학길을 떠난다. 파리의 국립고등음악원에서 토니 오뱅에게서 작곡을, 피에르 르벨에게 음악 이론을 배우고, 1957년 독일 베를린으로 옮겨가 서베를린 음악대학에서 보리스 블라허에게 작곡을, 슈바르츠 쉴링에게 음악 이론을, 요제프 루퍼에게 12음 기법을 배운다. 1959년 서베를린 음악대학을 졸업, 같은 해 현대음악의 가장 전위적인 실험장인 다름슈타트의 국제현대음악제에서 <일곱 악기를 위한 음악>을 발표하며 큰 호평을 받는다. 이후 도나우에싱엔 음악제 등에서 발표하는 작품마다 주목 받으며 유럽에서 현대음악 작곡가로서 입지를 굳힌다. 동양의 전통음악을 서양의 작곡 기법에 적용한 독창적이고 우아한 작곡법으로 세계를 놀라게 한 윤이상은 살아 있을 당시 쇼스타코비치, 스트라빈스키 등과 함께 유럽 평론가들이 선정한 ‘유럽에 현존하는 5대 작곡가’, ‘20세기 중요 작곡가 56인’으로 손꼽혔으며, 뉴욕 브루클린 음악원이 선정한 ‘유사 이래 최고의 음악가 44인’에 이름을 올렸다. 1995년 베를린에서 타계했으며, 2018년 3월 타계 23년 만에 유해가 꿈에 그리던 고향 통영으로 돌아와 이장했다. 눌원문화상 (1960), 킬(Kiel)시 문화상 (1971), 독일연방공화국 공로훈장 대십자장 (1988), 함부르크 자유예술원 공로상 (1992) 그리고 독일 문화원의 괴테 메달 (1995)을 수상하였다.